카테고리 없음

스페인 독감 사망 이야~~

메리핑크리본 2020. 3. 26. 18:03

>


만나서 반갑습니다~ 타라입니다. 오늘은 세계인구의 약 1/3인 5억 명을 감염시키고 약 5천만 명 이상을 사망시킨 스페인 독감에 대해 파헤쳐보겠다고 합니다.​


>


참고로 현재 한국의 인구는 약 5천 2백만 명이니까 한국 인구 전체가 죽을 정도로 엄청난 병이었다고 합니다.1918년부터 1919년까지 발병했는데, 제1차 세계대전에서 사망한 것보다 더 많은 사람이 죽었다고 합니다.​


>


스페인 독감은 1918년 3월에 미국 시카고에서 처음 시작되어 6개월 후에 프랑스, 아프리카로 퍼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.한국에서도 발병했지만 1918년 무오년에 퍼져 '무오년 독감'으로 불렸다고 합니다.총 740만 명이 감염되고 약 14만 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.​​


당시 미국에서 처음 발병했지만, 세계 1차 대전 중 각국은 대부분 언론 통제를 하고 있었습니다. 따라서 이런 사실이 적국의 귀에 들어가면 불리해질까 봐 독감 관련 보도를 검열했습니다.하지만 스페인은 당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지 않은 중립국이었기 때문에 여과 없이 진실을 보도할 수 있었습니다.당시 스페인은 지도자 알폰소 3세를 비롯해 수도 마드리드에서는 시민의 3분의 1이 감염되는 등 연인원 800만명이 독감에 걸렸고, 스페인 언론과 기관에서는 이 독감에 대해 깊이 다루게 되어 이 독감의 이름은 '스페인 독감'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.스페인 입장에서는 너무 억울한 일이에요.어떤 나라는 자국에서 비롯된 질병이 사실이 아니라고 발뺌하고 있는데 말이죠.​



>


현재는 백신과 항생제, 세계보건기구(WHO)도 존재해 어떤 병이 하나 나타나면 세계보건기구 지휘통제실로부터 전 지구적인 방역과 격리 조치가 시작됩니다. 모든 나라가 서로 전염병의 확산 상태를 공유하고 대책을 취하고도 코로나 바이러스처럼 확산되기가 있지만 그 때는 아무 정보도 공유하지 않고 방치함, 무한히 확산되어 버렸습니다.그리고 당시의 전쟁으로 대규모 병영 생활이나 부대 이동 이후 제1차 대전 종전에 의하여 귀향한 병사들이 각지에 전염병을 전파하고 세계에서 유례없는 감염이 발생한 것입니다. ​​


>


그런데 이 스페인 독감에는 이상한 점이 하나 있었다고 합니다.평소 전염병은 코로나 바이러스처럼 면역력이 약하고 나이 든 고령층에서 많이 발병하고 면역력이 가장 왕성하라는 20~40대에서 발병률이 가장 낮은 스페인 감기에 걸린 사람의 약 99%가 65세 이하 청년층에서 그 중 50%는 20~40대이며, 독감으로 숨진 희생자 중 70%이상이 25~35세의 성인이었다고 합니다.정말 이상하지 않나요? 이런 점에서 두려움은 더 컸던 것 같습니다. 그런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?강하게 밝혀진 이유는 아직 없으나,


보통 독감 바이러스의 치사율은 0.1% 미만에 불과합니다.대다수의 바이러스는 몸의 면역체계를 무력화시키는 반면, 이 스페인 독감은 특이적으로 면역체계에 과민반응을 보이도록 유도했다고 합니다. 이 때문에 환자들은 체내에서 바이러스를 쫓아내기 때문에 생긴 면역반응으로 인해 과잉수분을 방출하게 되고 체내에 숨겨둔 수분으로 익사하게 됩니다.​​


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신호물질인 사이토카인과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다발성 장기부전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 현상입니다.한마디로 면역체계가 과민반응하여 면역력이 강한 사람이 강한 면역체계로 사망하는 것입니다.​


"전염병에 대해서 언론을 통제하는 검열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님을 여실에 나타낸 예처럼 생각되어, 100년 전 스페인 독감은 남의 일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.하루라도 빨리 코로나 바이러스가 종식하고 모든 것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좋겠네요.​​


​​​​


>


1720년-흑사병 1820년-콜레라 1920년-스페인 독감 2020년-코로나 바이러스 소름이 돋은 전염병 100년 주기설.